동식물 보기/새42 부안(줄포), 고창읍성 새보러 가는 곳은 아닌데 몇 시간 걸으려고 오래간만에 다녀왔습니다. 풍경 스케치 부안(줄포)고창 새들 2025. 1. 19. 대전 사정공원/보문산 굴뚝새 2025. 1. 19. 겨울 순천만 습지 오전에 3시간 정도 걸었습니다. 9시 약간 넘어 도착했더니 한적해서 좋더군요. 현장 분위기새들 큰기러기 쇠기러기 흑두루미 독수리 혹부리오리 고방오리 후투티 북방검은머리딱새 잿빛개구리매 딱새 수컷 참새 댕기물떼새 수컷 때까치 수컷쌍안경 어포컬 2025. 1. 13. 눈/비 오는 날 만경강 걷기 억지로라도 걷지 않으면 유튜브 중독될 것 같은 요즘입니다. 2025. 1. 6. 2025년 첫 탐조 1월 1일, 일출도 볼 겸 영산강 걸었습니다. 2025. 1. 1. 포항 둘러보기 새 보려고 포항 다녀왔습니다. 바람이 심해서 많은 새들을 만나지는 못했습니다만 구경 다니기도 좋은 곳이더군요. 흑기러기 뿔논병아리 붉은부리갈매기 백할미새 갈매기들 흰수염바다오리-. 수상한 시절에 오리 사체들을 보니 오싹하더군요. 홍머리오리-. 민물에서만 봤는데 바다에서 미역을 뜯어 먹고 있더군요. 흰뺨오리 비오리 깝작도요 바다직박구리 암컷 힝둥새 2024. 12. 30. 대청호 대청호 오백 리 길을 걸었습니다. 현장 스케치 2024. 12. 16. 새가 있는 가을 풍경 대전 노루벌적십자생태원 완주 만경강 순창 전북산림박물관 순창 구암사 2024. 11. 25. 새가 있는 풍경 영산강 근처 잠깐 걸었습니다. 완연한 가을이네요. 2024. 11. 19. 대전 진잠천, 갑천의 새들 스케치쇠오리 흰뺨검둥오리 대백로 쇠백로 물총새 민물가마우지 알락할미새길냥이 2024. 11. 10. 원앙 외 (남원 광한루) '정년이' 장면 생각나서 잠깐 들렸습니다만 공사중이네요. 어째 입장료가 한시적 무료더라니...그래도 원앙은 옹기종기 모여 있어서 잘 보고 왔습니다. 원앙 밀화부리 2024. 11. 10. 도심지 주차장의 '흰목물떼새' 지난 주부터 회사 길 건너 야외 주차장에 '흰목물떼새'가 보였다. 너네 설마 내년 봄에 거기서 가족을 꾸리려는 것은 아니지? 2024. 11. 6. 고창 이곳 저곳 고창 만돌리 (갯벌)도요새 있나 보러 갔습니다만 도요 코빼기도 못 봤습니다. 전좌바위, 병바위몇 번 갔었는데 좋은 날씨는 처음이었습니다. 2024. 11. 4. 대구경 초망원 단렌즈의 이상과 실제 한글날 회사 나와서 빈둥거리면서 일하고 있습니다.저는 초망원렌즈로 500PF(f5.6)와 500FL(f/4) 두 대를 보유 중입니다. 무거운 f/4 500FL은 작정하고 나서는 날 만 챙기고 대부분을 차지하는 일상의 탐조 사진은 가벼워 휴대가 편하고 휘두르기 쉬운 500PF가 맡고 있는데요.탐조 사진 시작 하시는 분들은 500mm f/4, 600mm f/4와 같은 리얼 대포 망원렌즈에 대한 로망이 있으실 겁니다. 저도 그랬구요. f/4급 렌즈는 스펙상 화질을 보장합니다만 '다른 조건이 만족되었을 때'라는 조건이 붙습니다. 아래 글의 '첫 번째 빅 글라스 경고'를 한번 읽어 보세요."어떤 렌즈나 카메라로 오래 촬영할수록 결과물은 더 좋아집니다. 모든 카메라 장비에는 학습 곡선이 있는데, 초망원의 경우 배율.. 2024. 10. 9. 국립공원에서 만나는 야생조류 알아보기 예전 흑산도에서 봤던 조류연구센터에서 발행한 자료 공유 합니다. (원래 하나의 파일이라 업로드 파일 용량 제한 때문에 3개로 나눴습니다. 아래 링크 가시면 하나의 파일로 내려받기 가능합니다.) 조류연구센터는 "야생조류 필드 가이드" 저자인 박종길 님께서 주도적으로 설립했다고 하네요. 출처 링크는 아래이고 자료실 가시면 좀더 많은 자료 보실 수 있습니다. https://www.knps.or.kr/front/bird/bbs/birdDtl.do?menuNo=7060003&bbsId=BIRDM001551 자료실. . . , 올해 제작한 매뉴얼은 활용도가 높도록 필드용 크기로 디자인하였는데 편집과정에서 오류가 생긴 것을 체크하지 못해 너무나 아쉽네요. 거듭 도움 주신 분들께 감사드리며, 아래 편집www.knps.. 2024. 10. 8. 탐조의 동반자 조류 도감 "야생조류 필드 가이드" 개정증보판이 땅에 머무는 새들의 동정을 위한 최고의 안내서입니다. 도감류는 자주 보는 책이기 때문에 튼튼한 하드커버 소장판 구입을 추천합니다. 종이 질도 소장판이 좋아서 실려 있는 새들 사진이 더 낫습니다.* 동정(同定) : 『생명』 생물의 분류학상의 소속이나 명칭을 바르게 정하는 일 2024. 10. 8. 매(Peregrine Falcon/Falco peregrinus) 매(Peregrine Falcon/Falco peregrinus)위키백과생물 분류 /학명/보전상태 계:동물계문:척삭동물문강:조강목:매목과:매과속:매속종:매Falco peregrinusTunstall, 1771최소관심(LC): 절멸위협 조건 만족하지 않음평가기관: IUCN 적색 목록 3.1[1]멸종위기Ⅱ급: 가까운 장래에 멸종위기에 처할 것이 우려됨평가기관: 대한민국 환경부 부산 가족 여행간김에 매의 성지라고 불리는 태종대에 20분 정도 잠깐 머물렀습니다. 광량이 부족한 날이기는 했으나 운 좋게도 얼굴 보여주어 몇 컷 담았습니다. 부산 태종대2024/10/6 2024. 10. 7. 고창 만돌리 갯벌 고창 서해안바람공원부터 만돌리 갯벌센터까지 7km 정도 걸었습니다. 아직도 낮에는 덥더라고요.중간에 한 시간 남짓 갯벌로 내려가는 계단에 위장그물 뒤집어쓰고 앉아서 좀도요, 민물도요가 갯지렁이 잡아먹는 모습 코앞에서 넋 놓고 봤습니다. 나를 잠시라도 잊는 '무아의 갯벌 체험'입니다. 민물도요 (Dunlin)좀도요 (Calidris ruficollis, Red-necked Stint)청다리도요 (Common Greenshank)괭이갈매기 (Black-tailed_Gull)꺅도요 (Gallinago gallinago, Common Snipe)흰물떼새 (Kentish Plover)저어새 (Black-faced Spoonbill) 2024. 9. 30. 이전 1 2 3 다음